Home| About | 포토 산책|꽃과 생활|경암 잡기| 중동칼럼| English

 

신선이 머무는 곳, 소요사

소요사(逍遙寺)는 전북 고창군 부안면 용산리 148-1번지에 소재하는 대한불교 태고종 전북 종무원이다. 창건연대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설(說)이 있으며, 대체로 백제 위덕왕(AD 554-598년)때 소요대사가 창건했다는 설이 설득력이 있다.

6·25전쟁으로 폐허가 된 이 사찰은 1961년 현학스님의 재건을 거쳐 1975년 5월 25일 태고종으로 다시 태어난 천년 고찰이다. 그 후 1990년 장윤택 스님의 재건을 거쳐 1992년 강옥동 주지가 부임하여 산신각을 창건하였다. 현재는 30년 세월 가까이 묵언(黙言) 정진중인 금성(金性) 스님이 1994년 이후 주석하시면서 대웅전, 산신각, 요사채 등의 중창을 비롯해 활발한 불사가 진행중에 있다.

 

 

 

 DSCN5041.JPG

DSC_0859.JPG

DSC05563.JPG

 farm-soyo07 424.jpg

DSC05525.JPG 

 DSC_0768.JPG

 

소요하게 산다는 것은 《소요유 (逍遙遊)》의 맛을 알 때 가능하며, 그 맛을 찾기위해 오르는 산이 소요산(逍遙山) 이다. 소요는 그 산(山) 에 있으며, 소요유는 소요사에 있다. 소요사에 이르면 <무언(無言)의 소요>가 신선의 등을 타고 바람따라 사해(四海)로 흩어진다. (경암, 2001)


 Kwanak P.O. Box 49, Seoul  151-600, Korea, Tel: 82-2-876-4249, Fax: 82-2-876-4349   Copyright ⓒ 1997-2010 RIES. All rights reserved.

 

 사진으로 보는 소요산

소요산에서 본 풍경

DSC_0676.JPG

DSC_0688.JPG

DSC_0697.JPG

DSC02246.JPG

DSC02431.JPG

DSC05532.JPG

DSC05546.JPG

DSC05547.JPG

DSC05553.JPG

DSC05563.JPG

DSC06263.JPG

DSC06527.JPG

DSC06560.JPG

DSCN4777.JPG

DSCN4784.JPG

DSCN4788.JPG

DSCN5020.JPG

DSCN5024.JPG

DSCN5033.JPG

DSCN5037.JPG

DSCN5032.JPG

DSCN5047.JPG

soyo0807 004.jpg

Farm0508 915.jpg

DSCN5041.JPG

 

소요산의 꽃과 자연

DSC06391.JPG

DSC_0799.JPG

DSC_0807.JPG

DSC_0829.JPG

DSC_0847.JPG

DSC_0850.JPG

DSC_0851.JPG

DSC02167.JPG

DSC02211.JPG

DSC02428.JPG

DSC02445.JPG

DSC05396.JPG

DSC05530.JPG

DSC06235.JPG

DSC06303.JPG

DSC06304.JPG

DSC06318.JPG

DSC06345.JPG

DSC06358.JPG

DSC06377.JPG

soyo0705 099.jpg

DSC06402.JPG

DSC06410.JPG

DSC06450.JPG

DSC06527.JPG

DSCN4721.JPG

DSCN4729.JPG

DSCN4743.JPG

DSCN4758.JPG

DSCN4762.JPG

soyo0705 072.jpg

DSCN4887.JPG

DSCN4977.JPG

DSCN5110.JPG

farm0804 130.jpg

farm0804 192.jpg

soyo0807 102.jpg

farm-soyo07 402.jpg

farm-soyo07 413.jpg

Y172.jpg

DSC_0739.JPG

farm-soyo07 124.jpg

DSCN4878.JPG

Y 196.jpg

DSC06527.JPG

 

소요사를 둘러보며

DSCN5024.JPG

DSC05547.JPG

DSC02205.JPG

DSC02215.JPG

soyo0705 045.jpg

farm0804 127.jpg

DSC02269.JPG

DSC05553.JPG

DSCN4190.JPG

DSCN4565.JPG

 

소요사 memory

DSC_0688.JPG

DSC_0708.JPG

DSC_0730.JPG

DSC_0739.JPG

DSC_0772.JPG

DSC_0775.JPG

DSC_0781.JPG

DSC_0832.JPG

DSC_0835.JPG

DSC_0839.JPG

DSC_0844.JPG

DSC_0850.JPG

DSC_0851.JPG

DSC_0859.JPG

DSC_0861.JPG

DSC_0869.JPG

DSC_0874.JPG

DSCN5041.JPG

DSC_0921.JPG

DSC02181.JPG

DSC02240.JPG

DSC02271.JPG

DSC05474.JPG

DSC05488.JPG

DSC05516.JPG

Y174.jpg

DSC06509.JPG

DSCN0217.JPG

DSCN4183.JPG

DSCN4565.JPG

DSCN4704.JPG

DSCN4777.JPG

DSCN4784.JPG

DSCN4788.JPG

soyo0807 105.jpg

DSCN5020.JPG

DSCN5024.JPG

DSCN5033.JPG

DSCN5037.JPG

soyo0807 070.jpg

DSCN5047.JPG

DSCN6877.JPG

farm-soyo07 424.jpg

farm-soyo07 430.jpg

soyo0705 045.jpg

soyo0705 099.jpg

soyo0807 004.jpg

DSC_0876.JPG

DSCN4878.JPG

DSCN4569.JPG

 

 

소요산 주변의 볼거리

211.jpg

0302 231.jpg

0302 242.jpg

DSC_0921.JPG

DSC05432.JPG

미당 서정주 문학관

고창의 복분자

유네스코 문화유산

변산 앞바다

선운사

DSC05452.JPG

DSC05481.JPG

DSCN4637.JPG

DSCN6870.JPG

DSCN9040.JPG

곰소 갯벌

변산 해수욕장

인촌 김성수 생가

미당 서정주 생가

풍천장어의 고장

* 이 페이지에 게제된 사진은 저작권이 RIES에 있으므로 이용할 경우에는 반드시 <출처: hong 2010>을 표기하여야 한다.


 

 

 경암 단상(斷想)

 

천지창조

소요사 가는 길

소요와  소요유 (逍遙遊)

시바의 아침

선화(仙和)가 떠나던 날

한가위 보름달

 

 

 

 

 

 

 

 

 

 

 

 

 

 

 

 

 

 

 

 

 

 

 

 

 

 

천지창조

 

현란한 태양에서 미진으로 흩어져

달 형제삼아 낯선 곳에 터 잡고

한줌 흙 푸른 구슬 우리 집 되었네.

 

낮에는 해 뜨고 밤에는 달 그리며

산천초목 생명수 비바람 만들어

계곡에 눈비 내려 바다에 생명 키웠네.

 

천둥 번개 큰 홍수 부모 되어

벌주고 상주고 4계절 인간 키워내니

8형제 별들이 시샘한 46억 세월 되었네.

鏡巖(2012/02/14)

 


 

 

 

 

 

 

 

 

 

 

 

 

 

 

 

 

 

소요와  소요유 (逍遙遊)

소요(逍遙)란 "일정한 목적 없이 자유롭게 이리저리 거닐며 돌아다니는 것"을 말하지만, "어떤 일에도 좌우되지 않고 자유자재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다. 

장자(莊子)는 "온갖 사람들과 얽혀 일하되 거리낌없이 자유롭고 여유작작한 모습"을 소요유 (逍遙遊)라 했다. 소요유란 "다른 사물이나 사람들에게 의존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판단하고 행동하되 자연의 법칙에 부합할 수 있어야" 그 경지에 오를 수 있다. 소요를 실천하는 것은 '절대적 자유', 즉 <무대(無待)의 소요>를 실천하는 것이며, 절대적 자유란 '사적 자아의식', 즉 <무기(無己)의 소요>를 행할 때 가능한 것이다.

소요하게 산다는 것은 《소요유 (逍遙遊)》의 맛을 알 때 가능하며, 그 맛을 찾기위해 오르는 산이 소요산(逍遙山) 이다. 소요는 그 산(山) 에 있으며, 소요유는 소요사에 있다. 소요사에 이르면 <무언(無言)의 소요>가 신선의 등을 타고 바람따라 사해(四海)로 흩어진다. (경암, 2001)

 

 


 

 

 

 

 

 

 

 

 

 

 

 

 

 

 

 

 

 

 

 

 

 

 

 

 

 

 

 

 

 

 

 

 

 

 

 

 

 

소요사 가는 길

소타고 소 찾아 소요사 가는 길.

그림자 없는 소나무 아래

벌 떼는 꿀 모으고 나비는 꽃 찾아 날아갔다.

 

용(龍)이 솟아 오른 소요산.

언덕배기 소요사엔

나이 잊은 느티나무가 대웅전 앞뜰에 장승으로 선다.


질마재 언덕 복분자로 굽은 길.

허리춤에 두르고 강바람 바닷바람 만나는 풍천에선

장어들이 뽕잎 물고 떼 지어 춤춘다.


선운사 애잔한 종소리.

사백사십사미터 산마루에 옛 사랑 전할 때

변산반도 낙조는 소금물로 목 축이고 국화주로 갈증 푼다.


문수보살 벗 삼은 금성.

지혜로 금련 피워 사해(四海) 밝게 비추고

다람쥐는 도토리로 옥구슬을 엮는다.


신선이 구름 피워 놀다간 자리.

소요선사 간데없고 천년 안개 자욱한데

철없는 아이 어설픈 종소리로 산새만 깨운다.


산머루 익어가는 초가을.

풍경소리 잠든 고즈넉한 산사(山寺)에

달빛만이 목탁없이 귀뚜라미 언어로 창문을 연다.


일주문 없는 묵언(黙言) 피안 길.

소요사 가는 길엔

상사화가 옷을 벗고 활짝 피었다.

鏡巖 10/09/30

 

 

 

 


 

 

 

 

 

 

 

 

 

 

 

 

 

 

 

 

 

 

 

 

 

 

 

 

 

 

 

 

 

 

 

 

 

 

 

시바의 아침

 

솜사탕 안개가 풍천의 장어를 포근히 감싸고

아침인사 다람쥐도 하루를 쉰다.


여명의 햇살도 진무(塵霧)속에 묻히고

흩어진 영혼들이 산사(山寺)로 모인다.

 

산새도 더 이상 찾지 않고

찬 이슬만 바람타고 멀리 떠나갈 뿐,


시바의 아침엔

짙은 안개속 상사화(相思花)만 사랑으로 피어났다.  


鏡巖 10/09/22

 


 

 

 

 

 

 

 

 

 

 

 

 

 

 

 

 

 

 

 

 

 

 

 

 

 

 

 

 

 

 

 

 

 

 

 

 

 

 

 

 

 

 

 

 

 

 

 

 

 

선화(仙和)가 떠나던 날


선화가 수연을 버리고

선녀의 이름으로 떠나던 날,

산사(山寺)에는 침묵만 흘렀다.


칭기스칸의 나라에서

멀리 날아 전주에 둥지 틀고,

소요유(逍遙遊) 찾아 몸도 쉬고 마음도 달래고 떠났다.


선화가 떠나던 날!

한가위 보름달은 호수에 잠겼고,

금련(金蓮)은 강 언덕에 탐스런 연꽃 한 송이를 피웠다.


鏡巖 10/09/23

 


  

 

 

 

 

 

 

 

 

 

 

 

 

 

 

 

 

 

 

 

 

 

 

 

 

 

 

 

 

 

 

한가위 보름달


한가위 보름달이

산 넘어 호수에 길게 누었다.


방아 찧던 토끼는 신명나고

젖 넘치던 어머니도 별빛아래 희미하다.


알몸으로 뛰쳐나온 천사도

갈 길 잃고 풍악 맞춰 함께 춤을 췄다.


고향 잃은 아픔도

땀 젖은 할머니 베적삼에 묻었다.


구름 떠난 빈자리

선녀 없는 호수에 길게 누었다.


鏡巖 10/09/22

 

 

 

 

 

 

 

 

 

 

 

 

 

 

 

 

 

 

 

 

 

 

 

 

 

 

솔밭 연가

 

천둥에 놀란 토끼 옹달샘에 빠지니,

허탈한 매 한 마리 연못 위만 맴돌고

숨 가쁜 늑대무리 아우성 능선마저 슬피 운다.

 

갈대숲 멧돼지도 휘둥그레 먼 산만 바라보고 …

보타락 독수리 그 위에 날아드니

진달래 향 도토리가 제 무게에 힘없이 떨어진다.

 

철모르던 다람쥐 놀란 가슴 헐떡이고,

떼 지어 노래하던 양들이 산골짜기로 흩어지니

양지바른 솔밭엔 폭풍우만 먹구름 함께 몰려온다.

鏡巖 12/01/03

 


 

 

 

 

 

 

 

 

 

 

 

 

 

 

 

 

 

 

 

 

 

 

 

 

마음 갈 곳을 잃어

 

마음 갈 곳을 잃어

먼 산 바라보니 늙은 독수리 허공을 맴돌고

갯벌로 나가니 농게들이 흙탕물에 분주하다.

산 따라 계곡 오르니 인적도 한산하고

 

마음 갈 곳을 잃어

불야성 거리로 나가니 젊은 술 향기가 두렵다.

은하수 별들을 바라보니 보름달이 환하고

늦잠에서 깨어나니 중천에 둥근 해가 그 자리에 있다.

鏡巖 12/01/13

 

종합경제사회연구원

중동경제연구소

한국예멘교류센타

아랍중동교류협회


 Kwanak P.O. Box 49, Seoul  151-600, Korea, Tel: 82-2-876-4249, Fax: 82-2-876-4349   Copyright ⓒ 1997-2010 RI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