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집 트   Arab Republic of Egypt

국제 및 국내에서 압력을 받아오던 이집트는 여러 해들을 반대 세력들을 조정. 화해시키는데 보냈다. 아랍 국가들이 과거 그들과 적이었던 이스라엘과의 교류로 평화를 구축했기 때문에, 카이로는 지역의 평화 중개인으로서의 역할을 유지하는데 어렵게 되었다. 이러한 와중에 미국과의 논쟁은 이집트가 의회를 지배함으로써 가능하게 된 미래 희망에 대해 우려를 자아냈다. 대내적으로는 원리주의자들의 위협이 의사일정을 계속 방해하고 있으며, 강압적인 보안 단속으로 국가를 일시적으로나마 살만한 곳으로 만들긴 했지만 가난과 실업의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왕들의 계곡, 이집트의 진주, 필래신전

  지  도

 

up

 


1. 일반개황

한반도 면적의 약 5배에 달하는 국토(1,002,000km2)를 소유한 이집트는 북으로 지중해, 남으로 수단, 서로는 리비아 및 동북으로 이스라엘과 접경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이집트는 크게 대별하여 나일강과 알렉산드리아 사이의 지중해연안의 북부 이집트(Lower Egypt)와 카이로에서 수단 국경까지 나일 유역의 남부 이집트(Upper Egypt)로 나눌 수 있다. 외교통산부

up


2. 정치약사

가장 오래된 문명중의 하나인 이집트는 기원전 3000년경에 연합된 왕국과, 높은 문명 그리고 최초의 피라미드를 이룩했다. 고대 왕국이었던 페르시아, 그리스, 로마, 비잔틴, 아랍(이집트에게 이슬람적인 믿음과 문화 아랍의 언어를 줌) 및 오스만 터키에 의해 오랬동안 통치되었다.

이집트는 지정학적으로 유럽, 아시아 및 아프리카를 잇는 전략적 요충지로서 뿐만이 아닌 중동 아랍국가들에 있어서도 정치,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나라이다. 이집트는 나일(Nile)강을 중심으로 5,000년의 유구한 역사를 지닌 고대 문명의 발상지로서 역사적 의미 또한 매우 크다.

고대 이집트는 기원전 3200년경 메네스(Menes)왕이 최초의 통일국가를 이룩한 이후, BC2000년경에는 스핑크스와 피라밋으로 잘 알려진 파라오(Pharaoh)시대로 찬란한 문명을 이룩하였다. 그 이후 희랍, 로마시대를 거쳐 이슬람 전성시대인 640년 아랍에게 점령되어 아랍化된 이후 오늘날까지 아랍의 대변자로서의 역할을 해 오고 있다.

이집트는 여타 아랍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오스만제국의 통치(1517-1914)를 거친 후 1922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였다. 1952년 낫셀중령이 이끄는 자유장교단이 왕정을 폐지하고 이집트아랍공화국을 수립하였다.

대통령이 된 낫셀은 아랍사회주의를 표방하면서 親蘇的 외교노선을 추구하였고, 1956년 과감하게 수에즈(Suez) 운하를 국유화하였으며 이는 제2차 중동전쟁의 불씨가 되기도 하였다. 1970년 9월 낫셀이 사망하자 사다트가 대통령에 당선되어 국호를 이집트아랍공화국(The Arab Republic of Egypt)으로 개칭하고 親美的 自由化政策을 추구하였다. 사다트는 1979년 3월 대이스라엘 평화협정을 체결하는 등 중동평화 문제에도 적극적인 자세를 취했다.

1981년 10월 사다트대통령이 피살된 후, 그 직을 계승한 무바라크(Mubarak)는 1993년 10월의 선거를 거쳐 임기 6년의 제3기의 집권기를 맞이하고 있다. 현 무바라크 대통령은 '안정속의 경제발전'을 정책목표로 대내적으로는 경제안정화 정책에 힘쓰는 한편, 대외적으로는 1991년 걸프전(The Gulf War)에서의 적극적 입장표명, 1993년 9월 이스라엘 PLO간 평화협정과정에서의 역할 등 중동의 평화협상과정에서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집트의 정치약사

■ BC 3000년경 : 고대 왕조 성립

■ BC 30년 : 클레오파트라 사망과 함께 로마의 통치 시작

■ 1517년 : 오스만 터키 지배

■ 1869년 : 수에즈 운하 개통

■ 1882년 : 영국이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영향력을 빼았음

■ 1922년 : 영국의 보호통치가 끝나고 이집트 왕국으로 독립

■ 1948년 : 이집트를 포함한 아랍의 국가들이 이스라엘과의 제1차 중동전쟁에서 패함

■ 1952년 : 자유장교단(free officer)에 의한 혁명, 네기브(Neguib) 정권 수립

■ 1953년 : 군사 쿠데타로 군주정을 끝내고 공화정을 세움

■ 1954년 : Lt. Col. Nasser의 두 번째 쿠테타 성공으로 집권, 1970년 사망시까지 통치

■ 1956년 : 수에즈 운하를 국유화, 제2차 중동전쟁

■ 1958-1961년 : 시리아와 UAR(통일아랍아랍공화국) 형성

■ 1967년 : 제3차 중동전쟁, 이스라엘 시나이 반도 점령

■ 1970년 : 나세르 대통령 사망, 부통령인 사다트(Sadat)가 대통령직 승계

■ 1971년 : 소련의 지원하에 아스완 댐 완성

■ 1973년 : 시리아와 연합하여 이스라엘 공격, 제4차 중동전쟁(10월) 발발

■ 1979년 : 이스라엘과 평화협정을 체결(3월)하고, 30년간의 적대관계를 종식

■ 1981년 : Anwar Sadat 대통령 암살(8/6), 부통령인 무바라크(Mubarak)가 대통령직 승계

■ 1982년 : 이스라엘이 시나이 반도를 이집트에게 돌려줌(4월)

■ 1985년 : 미국이 "Achille Lauro"라는 공중납치범이 타고가는 비행기를 탈취

■ 1987년 : 무바라크 대통령 재임(10월)

■ 1989년 : 아랍연맹에 복귀(5월)

■ 1993년 : 무바라크 대통령 3선에 당선(10월)

up


3. 산업경제

1) 투자환경

2) 주요 경제지표

3) 산업활동

up

 


3) 산업활동

이집트 경제의 특징은 '중앙집권적인 계획경제'에 있다. 비교적 높은 교육수준, 비옥한 토지, 적절한 기후조건 및 원유를 포함한 광물자원을 가지고 있음에도 경제의 체질개선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는 배경에는 중앙집권적 계획경제가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비능률적인 공공부문에 대한 국가경제의 의존도가 70%에 이르며, 민간부문의 활동을 저해하는 정부의 지나친 간섭 등은 국가경제의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있다. 따라서 공공부문의 독점적 지위 보장에 따른 경쟁력 상실, 민간의 외환규제 심화 및 높은 인플레 등으로 인한 물가불안 등이 이집트 경제의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로 되고 있다. 아무튼 이집트는 심각한 도시집중현상(도시 인구증가율 3.3%)과 높은 실업율(14%)의 해결이 이집트 경제성장의 선결과제로 알려지고 있다.

서비스수지의 경우 1990/91년도 76억 7천9백만 달러, 1991/92년도 86억 2천8백만 달러 및 1992/93년도에는 91억 7천3백만 달러로 계속 증가추세에 있어 관광수입을 비롯한 서비스 수지개선에 이집트 정부는 커다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집트의 수요 수출품으로는 석유제품, 면직류, 가죽제품 및 감자 등이며, 주요 수입품으로는 식료품, 기계류, 자동차, 비료, 윤활유, 연료, 청량음료, 목재 및 화학제품 등이 있다

up


4. 한국과의 관계

■ 공식 수교 : 1995년 4월 13일

■ 주 이집트 한국 대사관 : 1961년 12월 영사관계 수립, 1962년 5월 주 카이로 총영사관 개설, 1995년 5월 1일 이집트대사관 승격(1996년 3월 15일자로 임성준대사 부임)

주한 이집트 대사관 : 1991년 8월 주한 이집트 총영사관 개설, 1995년 6월 7일 주한 이집트대사관

승격, 1995년 8월 9일 Cholkamy 대사 신임장제정

■ 주 이집트 진출 업체 : KOTRA 및 LG 전자, 유공등 15개 업체

5. 북한과의 관계

■ 공식 수교 : 1963년 8월 24일

6. 이집트의 주요 수출입품

■ 주요 수출품 : 석유 관련제품, 면사 및 직물류, 금속제품, 농산물, 원면

■ 주요 수입품 : 운송장비, 식품류, 화학 고무, 가죽, 섬유류, 비철 금속제품

7. 이집트의 주요 수출입국

■ 주요 수출국 : 이태리(18.6%), 미국(11.1%), 독일(6.8%), 영국(6.6%), 루마니아(6.2%), 프랑스(4.1%)

■ 주요 수입국 : 미국(18.9%), 독일(9.6%), 이태리(7.6%), 프랑스(7.5%), 일본(5.1%), 영국(3.8%)

8. 한국과의 교역 관계

■교역량(1999년, 단위: 1000달러) : 수출 568,752 수입 259,700  무역수지 309,052

■ 한국의 대 이집트 주요 수출품 : 자동차, 전기, 전자, 기계

■ 한국의 대 이집트 주요 수입품 : 원유, 원면, 농산물

up


  Copyright ⓒ 1997-2000 KIME. All rights reserved. E-mail; kime@hopia.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