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경제사회연구원

 중동의 자원: 석유, 수자원, 식량 Oil, Water resources & Food in the Middle East

중동경제연구소 Korea Institute of the Mideast Economies


Home| 뉴스레터| 중동연구| 중동인물| JKIME| 국가별자료| 중동칼럼| English

 

 

중동의 석유(oil)

중동의 수자원(Water resources)

  - Water Resources in the Middle East: Conflict and Management (중동의 수자원: 분쟁과 관리)

  -  Food Security and Water Resources in the Middle East

중동의 식량안보와 농업개발

  - 중동지역의 식량부족 해결 및 확보방안

  -Food Security and Crisis in the Middle East (중동의 식량 안보와 위기)

 

  BP 통계(2008)에 따르면, 전세계 원유의 가채매장량은 1 2,580억 배럴로 가채연수는 42년이다.중동의 걸프지역 산유국이 상위 5개국을 차지하며, 이들 국가의 매장량이 전세계 매장량의 약60%이다.

- 반면 세계 석유소비의 약 46%를 차지하는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독일 등 5개 국가의 매장량은 세계 총 매장량의 약 10%에불과하다.

- 한편 석유수출국기구(OPEC)는 세계매장량의 76%를 점유하여 생산량을 조절함으로써 국제석유가격에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 통상 경험적으로는 유가가 10% 상승하면 세계 경제 성장률을 4분의 1가량 낮추는 경향이 있다고 이코노미스트는 지적했다.

- 세계 교역물량의 20%는 아덴 만을 통해 지나간다. 아시아와 유럽을 오갈 때 이집트 수에즈 운하를 지나가는 배는 아덴 만에서 화물을 환적한다.

- 원유에는 3%의관세가 붙으며, 원유 수입액과 관세를 합친 금액에 다시 부가가치세 10%가 부과된다. (2011년 기준)

- 6일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우리나라로 수입된 원유는 256583억원 어치로 수입금액이 지난해 1분기보다 40% 가까이 늘었다. 원유 수입액이 늘다보니 관세와 부가가치세 수입도 크게 늘었다.

세계 유조선의 3분의 1 이상이 통과하는 호르무즈해협을 봉쇄하겠다며 맞서고 있다

.중동지역은 극히 물이 부족하며 매우 낮은 수준의 재생가능한 수자원을 갖고 있다. 이 지역은 매우 높은 1인당 담수(804m3/연간) 추출율과 그 가운데 재생가능한 수자원의 75% 이상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연유로 중동지역에서 물 부족 현상은 다른 어떤 지역보다도 더욱 심각하다. 물 수요는 인구증가 뿐만 아니라 경제성장의 여파로 이 지역에서 계속 증대할 것이다. 농업부문은 타 부문과 비교할 때 물 사용 조건에 따라 단연 최대의 수요를 필요로 한다. 걸프산유국들의 농업부문은 GDP에서 매우 작은 부분 (대부분 GDP의 2-3%)을 차지하고 있지만 농업목적을 위해서는 여전히 많은 양의 물을 사용하고 있다(SIWI, 2009: 2).

농업 또한 수자원 관리와 함께 기후변화와 같은 커다란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현재 전 세계 12억 인구는 절대적인 물 부족 현상과 함께 살고 있으며, 물 부족 현상의 증가는 또 다른 걱정거리가 되고 있다. 서브 사하라 국가들은 재사용이 가능한 물의 단지 4% 정도만을 이용하고 있다. 전세계는 심각한 토지감소 요인으로 매년 500백만-1000만 헥타의 농토를 잃고 있다. 하지만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 및 중앙아시아에는 경작 가능한 토지의 확장이 매우 큰 잠재력을 갖고 있다.

FAO 식량위기에 관한 보고서에서 2006년 기아인구가 8억5천만명에서 2009년 10억명으로 증가했으며, 그 원인은 ‘금융위기와 식량의 가격폭등’에 있다고 밝히고 있다. 세계은행 역시 2008년 이후 식량의 가격불안정 때문에 빈곤층으로 전락한 인구가 세계적으로 5,500만명에 이른다고 추정하고 있다. 식량가격 폭등이 금년 중동국가들의 정치적 불안요인이 됐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며, 직접적인 요인은 아니더라도 물가를 자극하여 인플레이션이 가중되어 사회불안 요인이 된 것은 사실이다. (홍성민, 2011)

 


 ■ 세계의 원유

- BP 통계(2008)에 따르면, 전세계 원유의 가채매장량은 1 2,580억 배럴로 가채연수는 42년이다.

* 이는 소양호의 약69배에 달하는 양 - 1m2=6.29배럴

- 원유의 가채매장량 상위 10개국(BP, 2009)

세계 원유의 가채매장량 상위 10개국 (2009)

순위

국명

매장량(억 배럴)

점유율(%)

비고

1

사우디아라비아

2,641

21.0

 

2

이란

1,376

10.9

 

3

이라크

1,150

9.1

 

4

쿠웨이트

1,015

8.1

 

5

UAE

978

8.0

 

6

베네수웰라

994

7.9

 

7

러시아

790

6.3

 

8

리비아

437

3.5

 

9

카자흐스탄

398

3.2

 

10

나이지리아

362

2.9

 

* 중동의 걸프지역 산유국이 상위 5개국을 차지하며, 이들 국가의 매장량이 전세계 매장량의 약60%이다.

- 반면 세계 석유소비의 약 46%를 차지하는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독일 등 5개 국가의 매장량은 세계 총 매장량의 약 10%에불과하다.

- 한편 석유수출국기구(OPEC)는 세계매장량의 76%를 점유하여 생산량을 조절함으로써 국제석유가격에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세계 산유국의 일일 생산량 순위 (2006)

순위

국명

산유량(b/d)

비고

1

사우디아라비아

1,072

 

2

러시아

967

 

3

미국

836

 

4

이란

415

 

5

중국

384

 

6

멕시코

371

 

7

캐나다

329

 

8

UAE

294

 

9

베네수웰라

280

 

10

노르웨이

278

 

11

쿠웨이트

267

 

12

나이지리아

244

 

13

브라질

216

 

14

알제리

212

 

15

이라크

200

 

세계 소비국의 일일 소비량 순위 (2006)

순위

국명

소비량(b/d)

비고

1

미국

2,059

 

2

중국

727

 

3

일본

522

 

4

러시아

310

 

5

독일

263

 

6

인도

253

 

7

캐나다

222

 

8

브라질

218

 

9

한국

216

 

10

사우디아라비아

207

 

11

멕시코

203

 

12

프랑스

197

 

13

영국

182

 

14

이태리

171

 

15

이란

163

 

출처: 대한석유협회

<참고>

- 통상 경험적으로는 유가가 10% 상승하면 세계 경제 성장률을 4분의 1가량 낮추는 경향이 있다고 이코노미스트는 지적했다.

- 세계 교역물량의 20%는 아덴 만을 통해 지나간다. 아시아와 유럽을 오갈 때 이집트 수에즈 운하를 지나가는 배는 아덴 만에서 화물을 환적한다.

- 원유에는 3%의관세가 붙으며, 원유 수입액과 관세를 합친 금액에 다시 부가가치세 10%가 부과된다. (2011년 기준)

- 6일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우리나라로 수입된 원유는 256583억원 어치로 수입금액이 지난해 1분기보다 40% 가까이 늘었다. 원유 수입액이 늘다보니 관세와 부가가치세 수입도 크게 늘었다.

세계 유조선의 3분의 1 이상이 통과하는 호르무즈해협을 봉쇄하겠다며 맞서고 있다.

 

 

★ 참고문헌

「이슬람금융의 이해와 실무」(공저: 한국금융연수원). 2010.

「중동경제와 이슬람금융」(공저: 세창출판사). 2010.

「이슬람경제와 금융」. KUIS. 2009.


 Countrywatch|   Ency of Orient|   Islam

종합연소식

중동소식

예멘소식

KMEA 소식

Publisher: Korea Institute of the Mideast Economies (KIME). Editor: Dr. Seong Min HONG.

Kwanak P.O. Box 49, Seoul  151-600, Korea, Tel: 82-2-876-4249, Fax: 82-2-876-4349.


This publication is consisted of  Korean, English, Arabic and the other languages concerned. The contents of the text do not necessarily reflect either the position or the views of  KIME. Copyright ⓒ KIME. All rights reserved.